20세기 전후 한국의 아나키즘
19세기말 이후 동아시아 3국의 사상계의 지형은 비슷하였다. 한국에도 중국이나 일본과 마찬가지로 1880년대부터 아나키즘을 비롯한 사회주의가 소개되어 개인적 차원에서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1910년 국권상실을 전후하여 한국 사상계에는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기능을 하던 사회진화론을 극복해야 할 과제가 주어졌고, 그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아나키즘을 비롯한 사회주의가 민족주의, 대동사상과 함께 민족해방운동 이념으로 수용되었다. 아나키즘 수용은 '춘추대의(春秋大義)'를 내세운 명분론과 대동사상 및 사회개조/세계개조론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졌으며,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 러시아 혁명, 3.1운동의 발생 등 차례의 계기를 맞아 점차 확산되어 갔다. 한말에는 온갖 조류의 사회주의가 소개되었..
My Text/아나키즘
2015. 7. 3. 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