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rchy Space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Anarchy Space

메뉴 리스트

  • Home
  • My Text
  • My Photo
  • Guest
  • Write
  • Admin
  • A-Space (820)
    • My Text (387)
      • Book (187)
      • Cine (164)
      • TV (2)
      • Essay (19)
      • Music (6)
      • 아나키즘 (9)
    • My Photo (433)
      • Landscape (258)
      • Person (42)
      • Animal (54)
      • Object (69)
      • Photoshop (8)

검색 레이어

Anarchy Space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My Text/아나키즘

  • 바쿠닌, 프루동이 바라본 마르크스와 공산주의

    2015.07.04 by 아나키안

  • 아나키스트 어록

    2015.07.03 by 아나키안

  • 20세기 전후 한국의 아나키즘

    2015.07.03 by 아나키안

  • [아나키즘] 영국의 아나키스트 고드윈

    2005.10.12 by 아나키안

  • [아나키즘] 아나키 집대성자 프루동

    2005.10.12 by 아나키안

  • [아나키즘] 진정한 개인주의자 슈티르너

    2005.10.12 by 아나키안

  • [아나키즘] 말라테스타

    2005.10.12 by 아나키안

  • [아나키즘] 영원한 반항아 바쿠닌

    2005.10.12 by 아나키안

바쿠닌, 프루동이 바라본 마르크스와 공산주의

미하일 바쿠닌(Mikhail Aleksandrovich Bakunin) 나는 공산주의를 몹시 싫어한다… 공산주의는 사회의 모든 권력을 집중시켜 그것들을 국가로 흡수시키기 때문이며 나는 국가가 폐지되는 것을 보고자 하는데, 그것은 불가피하게 국가의 수중으로 재산의 집중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나는 국가감독의 권위주의적 원리의 완전한 근절을 바라는데, 그것은 사람들을 도덕화하고 문명화한다는 구실 아래 사람들을 항상 종속 시키고 억압하고 착취하고 퇴폐시켜 왔다. 나는 집합된 또는 사회화된 재산과 그러한 체제의 사회가 어떤 종류의 권위에 의해서이건 간에 꼭대기에서부터 밑바닥으로 향해서가 아니라 자유로운 결사(free association)를 통하여 맨 밑바닥으로부터 조직되어 올라갈 것을 원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

My Text/아나키즘 2015. 7. 4. 10:39

아나키스트 어록

“불복종은 인간의 원초적 덕목이다. 진보가 이뤄져 온 것은 바로 불복종을 통해서다. 그렇다. 불복종과 반란을 통해서다” “유토피아가 들어있지 않은 세계지도는 들여다 볼 가치가 없다” -오스카 와일드- “궁극적으로 아나키즘은 하나의 정치운동이나 철학 또는 예술적 감각의 측면에서 정의될 수 없다. 아나키즘은 그 모든 것이며, 그 이상이다” -숀 쉬한, ‘우리시대의 아나키즘’에서- “아나키즘은 학설이 아니다. 사상과 행동의 역사적 경향이다. 이 경향은 계속해서 혁신되고 발전하는 수많은 길을 가지고 있으며, 인류의 역사가 끝나지 않은 한 영원히 계속될 것이다” -노암 촘스키- “세상을 바꾸기 위해선 먼저 인생을 바꿔야 한다” -랭보(Rimbaud, Jean-Nicolas-Arthur)- “인간의 법률은 경멸할 ..

My Text/아나키즘 2015. 7. 3. 17:59

20세기 전후 한국의 아나키즘

19세기말 이후 동아시아 3국의 사상계의 지형은 비슷하였다. 한국에도 중국이나 일본과 마찬가지로 1880년대부터 아나키즘을 비롯한 사회주의가 소개되어 개인적 차원에서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1910년 국권상실을 전후하여 한국 사상계에는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기능을 하던 사회진화론을 극복해야 할 과제가 주어졌고, 그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아나키즘을 비롯한 사회주의가 민족주의, 대동사상과 함께 민족해방운동 이념으로 수용되었다. 아나키즘 수용은 '춘추대의(春秋大義)'를 내세운 명분론과 대동사상 및 사회개조/세계개조론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졌으며,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 러시아 혁명, 3.1운동의 발생 등 차례의 계기를 맞아 점차 확산되어 갔다. 한말에는 온갖 조류의 사회주의가 소개되었..

My Text/아나키즘 2015. 7. 3. 17:40

[아나키즘] 영국의 아나키스트 고드윈

윌리엄 고드윈(William Godwin·1756∼1837·英) 영국의 비국교도(非國敎徒) 목사의 아들로 태어난 고드윈은 유럽에서 아나키즘을 최초로 이론화(理論化)한 사상가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는 어려서부터 시골학교 여러곳을 다니다가 11세때 독립 교회파 목사인 사무엘 뉴튼의 제자가 되면서 기독교 산데만 파(派)와 접하게 된다. 로버트 산데만(Robert Sandeman·1718∼1771)장로가 지도자였던 이 교파는 초대교회의 복귀와 공동생활을 주장하며 스코틀란드에서 창설되었다. 산데만 파 사람들은 교회에 의한 지배의 정당성을 부정했다. 그들은 신앙에 따르는 인간은 국가와 아무런 관계도 안가진다고 주장하였으며, 임명된 목사가 한사람도 없는 독립적인 집회조직을 가지고 있었다. 또 재산 공유(共有)를 바람..

My Text/아나키즘 2005. 10. 12. 10:48

[아나키즘] 아나키 집대성자 프루동

프루동 Proudhon, Pierre-Joseph 1809~1865 프랑스의 가난한 선술집 주인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목동으로 보냈다. 그에게 이상사회란 자기 아버지와 같은 수공업자나 농민들이 자유롭고 평화롭게 사는 세상을 뜻한다. 총명했던 그는 브장송에 있는 대학에 장학생으로 진학해 부유한 상인 아이들로부터 가난뱅이라는 손가락질을 당했다. 집안의 경제적 파탄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인쇄 견습공이 되었지만 향학열을 식지 않았다. 그는 인쇄소에서 기술을 배우면서 라틴어, 그리스어, 헤브라이어를 독학하는 한편 여러 지역의 자유주의자나 사회주의자들과 사상의 토대를 쌓았다. 그는 1838년 브장송 아카데미로부터 장학금을 받아 파리로 유학할 수 있었다. 이 때 그는 자신의 사상을 정리한 최초의 저서 '재산이란..

My Text/아나키즘 2005. 10. 12. 10:45

[아나키즘] 진정한 개인주의자 슈티르너

막스 슈티르너(Max Stirner 1806 ∼1856) "국가(國家)는 누구든지 자기의지(自己意志)를 가지지 말 것을 요구한다. 만약 한 인간이 그것을 가졌다면 국가는 그를 배제하고 폐쇄하고 추방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만일 모든 인간이 그것을 가진다면 그때는 그들이 국가를 배제할 것이다. 자기의지와 국가는 먹느냐 먹히느냐 하는 적대관계에 있는 힘이다. 양자간에 영원한 평화는 있을 수 없다."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로 알려진 독일의 철학자 막스 슈티르너는 자신의 저서 『유일자(唯一者)와 그의 소유』를 통해 개인의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에 의하면 국가를 독재적이건 민주적이건 개인의지의 부정(否定)이다. 그것은 집단적 인간을 숭배하는 데다 기초를 두고 있으며, 국가의 입법제도 및 법에 의한 강제야말로 ..

My Text/아나키즘 2005. 10. 12. 10:43

[아나키즘] 말라테스타

말라테스타(Errico Malatesta, 1853. 12. 14~1932. 7. 22) 이탈리아의 아나키스트. 혁명이념을 보급시키는 최선의 방법은 무장봉기에 있다는 이른바 '행위의 선전'을 주장했다. 10대에 제1 인터내셔널에 가입함으로써 정치활동을 시작했다. 연설가이며 선동가로서 급진적 아나키스트로서 루마니아·이탈리아·이집트·스페인·아르헨티나 등 남·북아메리카에서 혁명단체를 조직했다. 죽을 때까지 약 12년간 옥고를 치르고 3차례 사형언도를 받았으며, 35년 동안 망명생활을 했다. 러시아의 무정부주의자인 표트르 크로포트킨과 제휴하기도 했지만 정치적 목표달성을 위해 혁명세력을 규합하고 노동자들을 조직화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프랑스·벨기에·스위스에서 노동자 대회를 결성해 무장봉기..

My Text/아나키즘 2005. 10. 12. 10:40

[아나키즘] 영원한 반항아 바쿠닌

미하일 바쿠닌(Mikhail Aleksandrovich Bakunin: 1814~1876) 바쿠닌은 러시아의 트베리(지금의 칼리닌) 지방 소지주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목가적인 전원생활 속에서 유년기를 보낸 바쿠닌은 1840년에 독일로 떠나 청년 헤겔 학파에 매료되었다. 러시아 정부 의 귀환명령을 거부해 여권을 회수당한 바쿠닌은 프랑스에 정착했다. 파리에서 프루동, 마르크스 등 당대의 저명한 사회주의 사상가들과 교분을 쌓았는데 이를 통해 사회주의 혁명과 슬라브 민족해방운동의 연계를 구상하게 되었다. 바쿠닌은 1848년 2월 혁명 동안 정치 투쟁에 동참한 후 독일의 한 지방에 은거하면서 최초의 혁명강령 선언인 [슬라브 민족에 고함 Aufruf an die Slaven]을 작성했다. 부르주아 계급을 소멸해 가..

My Text/아나키즘 2005. 10. 12. 10:37

추가 정보

인기글

  1. -
    -
    영화 ≪마녀≫, 루시와 뱀파이어의 양다리 스탠스

    2018.06.29 03:54

  2. -
    -
    가난한 유토피아를 꿈꾼 디오게네스

    2015.10.23 17:31

  3. -
    -
    고독하고 격정적인 질주… 프란츠 카프카

    2015.10.22 04:16

  4. -
    -
    자본은 혁명마저 팔아치워… ‘저항 주식회사’

    2015.11.02 16:37

최신글

  1. -
    -
    2021년 1월1일 경희궁

    Landscape

  2. -
    -
    November

    Landscape

  3. -
    -
    창문과 커튼

    Object

  4. -
    -
    나가고 싶다...

    Landscape

페이징

이전
1 2
다음
Home 티스토리
푸터 로고 © 아나키안
메일